서론: 믿기지 않지만 실제 일어난 일
"주식은 어렵다", "초보는 무조건 손해 본다"는 말을 많이 들었을 거예요.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3월에 주식을 시작해서 첫 달에 30% 수익을 냈어요.
운이 좋았던 걸까요? 물론 운도 있었지만, 체계적인 준비와 올바른 방법 덕분이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실제로 어떻게 했는지, 어떤 실수를 했는지 솔직하게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중요한 건 30% 수익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배운 것들입니다. 지금도 꾸준히 수익을 내고 있는 방법들을 알려드릴게요.
투자 시작 전 준비 과정
3개월간의 공부 기간
주식을 시작하기 전에 3개월 동안 공부했습니다. 무작정 시작했다가는 돈만 날릴 것 같았거든요.
읽은 책들
-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 하기" - 기초 개념 학습
- "워런 버핏의 투자 원칙" - 가치투자 이해
- "차트의 기술" - 기술적 분석 기초
활용한 유튜브 채널
- "삼 프로 TV"- 기본기 탄탄하게
- "신사임당" - 실전 매매 기법
- "부읽남" - 해외주식 정보
모의투자로 연습
3주간 모의투자를 해봤어요. 실제 돈이 아니라서 심리적 부담이 없었고, 다양한 전략을 시도해 볼 수 있었습니다.
모의투자 결과
- 1주 차: -15% (정말 망함)
- 2주 차: +5% (조금씩 감 잡기 시작)
- 3주 차: +12% (나름 만족스러운 결과)
첫 달 투자 전략과 실제 매매 내역
투자 원칙 설정
실전에 들어가기 전에 명확한 원칙을 세웠습니다.
- 투자 금액: 500만 원 (잃어도 되는 돈)
- 손절매: -10% 도달 시 무조건 매도
- 익절매: +20% 도달 시 절반 매도
- 종목 수: 최대 5개까지만
- 투자 비중: 한 종목에 전체의 30% 이하
실제 매매 내역 공개
1주 차 (3월 첫째 주)
매수 종목
- 삼성전자 (150만원):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
- 카카오 (100만원): 메타버스 관련주로 선택
- LG에너지설루션 전기차 배터리 수혜주
결과: +3% (15만 원 수익)
2주 차 (3월 둘째 주)
추가 매수
- TIGER 미국나스닥 100 (150만원): 해외 분산 투자
매도
- 카카오 일부 매도 (+15% 수익)
결과: +8% (40만 원 수익)
3주 차 (3월 셋째 주)
시장이 전체적으로 상승하면서 모든 종목이 플러스를 기록했습니다.
결과: +18% (90만 원 수익)
4주 차 (3월 넷째 주)
추가 매수
- 엔비디아 (미국 주식, 100만 원): AI 관련주 급등
최종 결과: +30% (150만 원 수익)
성공 요인 분석
1. 철저한 사전 준비
3개월간의 공부가 가장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기본 개념을 모르고 투자했다면 분명히 손해를 봤을 거예요.
2. 명확한 원칙과 규칙
감정적 투자를 피하기 위해 미리 정한 원칙을 철저히 지켰습니다. 특히 손절매 원칙 덕분에 큰 손실을 피할 수 있었어요.
3. 분산 투자
한 종목에 몰빵 하지 않고 여러 종목에 분산했습니다. 하나가 떨어져도 다른 종목이 버텨줬어요.
4. 시장 타이밍
운이 좋게도 3월이 전체적으로 상승장이었습니다.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았다면 결과가 달랐을 수도 있어요.
5. 해외 주식 투자
국내 주식만 하지 않고 미국 주식도 함께 투자한 것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가 크게 올랐어요.
실수했던 부분들
실수 1: 과도한 자신감
첫 달에 30% 수익을 내니까 **"나는 주식 천재다"**라는 착각에 빠졌어요. 두 번째 달에 욕심을 부리다가 일부 수익을 토해냈습니다.
실수 2: 단기 매매 시도
성공에 취해서 단기 매매를 시도했다가 수수료만 날렸어요. 장기 투자가 답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실수 3: 종목 추천 맹신
유튜브나 카페에서 **"이 종목 무조건 오른다"**는 말을 듣고 투자했다가 손해를 봤어요. 본인만의 판단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의 투자 성과 (4개월 후)
현재 포트폴리오
국내 주식 (60%)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설루션
해외 주식 (30%)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ETF (10%)
- TIGER 미국 S&P500
누적 수익률
- 1개월 차: +30%
- 2개월 차: +18% (일부 조정)
- 3개월 차: +25%
- 4개월 차: +22% (현재)
총 투자금: 800만 원 (추가 투자)
현재 평가금액: 976만 원
총수익: 176만 원
초보자를 위한 실전 조언
1. 절대 빌린 돈으로 투자하지 마세요
가장 중요한 원칙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대출 등으로 투자하면 심리적 압박감 때문에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없어요.
2. 적은 금액부터 시작하세요
처음에는 100-200만원 정도로 시작하세요. 경험이 쌓이면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손절매 원칙을 정하고 지키세요
-10% 또는 -20% 도달 시 무조건 매도하는 원칙을 세우고 철저히 지키세요. 감정에 휘둘리면 큰 손실을 봅니다.
4. 분산 투자하세요
한 종목에 몰빵 하지 말고 최소 3-5개 종목에 분산하세요. 위험을 줄이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어요.
5. 꾸준히 공부하세요
주식은 평생 공부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책, 유튜브, 뉴스 등을 통해 꾸준히 지식을 쌓으세요.
추천 투자 종목 (2025년 7월 기준)
국내 주식
대형주 (안정적)
- 삼성전자: AI 반도체 수혜
- 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1위
- NAVER: 국내 IT 대장주
중형주 (성장성)
- LG에너지설루션: 전기차 배터리
- 카카오뱅크: 핀테크 선두
- 셀트리온: 바이오 대표주
해외 주식
미국 기술주
- 애플: 안정적인 대형주
-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1위
- 엔비디아: AI 반도체 독점
ETF (초보자 추천)
- TIGER 미국 S&P500: 미국 대표 지수
- KODEX 200: 국내 대표 지수
투자 실패를 피하는 방법
피해야 할 종목들
- 테마주: 급등 후 급락 위험
- 저가주: 싸다고 좋은 게 아님
- 추천주: 남의 말만 듣고 투자
- 신규 상장주: 변동성 매우 큼
위험 신호들
- 연속 상한가: 과열 신호
- 급격한 거래량 증가: 작전 의혹
- 언론 과다 노출: 이미 늦은 경우 많음
- 카페 추천 급증: 개미들이 몰릴 때
결론: 30% 수익보다 중요한 것
첫 달에 30% 수익을 낸 것은 분명히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꾸준함이에요.
주식 투자는 단거리 달리기가 아니라 마라톤입니다. 한 번의 큰 수익보다는 꾸준한 수익이 더 의미 있어요.
지금 주식을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조언하고 싶은 것은 **"작게 시작하되 꾸준히 하라"**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충분히 성공할 수 있어요!